오늘은 도시가스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인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난방비가 2~3배 정도 올랐습니다. 겨울도 몹시 추웠고 다들 난방비 엄청 나오셨을 거라고 생각되는데요. 바로 현금으로 난방비 절약분을 돌려주는 제도(캐쉬백)가 있습니다. 개인의 소득요건과 무관하게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고 신청 절차도 까다롭지 않습니다. 아직 생긴 지 오래되지 않아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지만 지원금액도 계속 오르고 있으니 아직 신청하지 않은 분들은 꼭 난방비 지원금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1.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이란?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이란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도시가스를 절약한 양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12월~3월 동안 전년도 사용량 대비 3% 이상 절약하면 절약한 만큼을 현금으로 돌려받으실 수 있으니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최대 30%까지 현금으로 돌려드리며 주택난방용, 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할 것 없이 도시가스 요금을 사용하고 있다면 소득 분위 관계 없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2.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대상 및 지급기준, 제외대상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은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전 국민 대상입니다. 그러니 소득분위나 지역, 같은 제약조건이 따르지 않습니다. 다만 난방 목적이 아닌 취사용, 취사전용 요금제 사용자, 전출 세대 등 전 년도에 사용량이 없는 세대는 캐쉬백을 받을 수 없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시다시피 절감율에 따라 캐시백 지급단가도 달라집니다. 절감률이 높으면 현금도 많이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떻게 도시가스 절약률을 높일 수 있는지는 마지막에 설명드리겠습니다.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외대상
-전출이나 전입 등의 이유로 도시가스 사용량 조회가 어려운 경우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 사용자 (산업용, 업무난방용)
-신청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사용자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잘못 기입하여 사용량을 조회할 수 없는 경우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바꿔서 세대별 사용량에 대한 자료가 없는 경우
3.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캐쉬백 (k-gascashback.or.kr)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가입과 동시에 캐쉬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 4개월 동안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절약된 현금은 7~8월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K-가스 캐쉬백 콜센터☎ 02-6022-0905 (운영시간 : 평일 10:00~17:00, 주말 공휴일 제외)
4. 도시가스 절약 꿀팁
-실내 적정 난방 온도(18~20도)로 설정하기
-적정 습도(40~60%)로 유지하기
-적정 온수 온도(40도) 설정하기
-온수 사용 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려놓기
-보일러 외출 기능 사용하기 (보일러를 완전히 껐다가 다시 작동하면 외출기능을 했을 때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더 많다고 합니다. 10시간 이내 귀가한다면 외출기능을 해놓는 것이 더 좋습니다.)
-방한용품 활용하기
-보온용품 착용하기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
-보일러 청소의 생활
5. 마치며
지금까지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과 지급기준, 대상, 신청방법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점점 더 비싸지는 난방비에 맞서 정부에서도 많은 돈을 돌려주고 있습니다. 그러니 수령할 수 있는 지원금은 모두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또한 신청방법도 까다롭지 않으니 도시가스 절약하고 현금도 돌려받길 바랍니다.
6.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방법, 신청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환급금에 대한 주제인데요. 오늘은 조금 생소할 수 있는 단어인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료 중 과다징수된 부분이 있다는 것 알
bbodenage.tistory.com
월세환급 신청방법, 자격 조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월세로 살고 계신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요즘 전세 사기다 뭐다 말이 아주 많은데요. 사람들이 점점 월세를 선호하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1년 12달 월세를 꼬
bbodenage.tistory.com
자동차채권 환급금 조회
안녕하세요. 우리가 자동차를 구입할 때 필수적으로 몇 가지의 채권(지역개발채권, 도시철도채권)을 함께 구입하게 되는데요. 이 채권이 자동차를 구입한 지 5년이 넘었다면(서울, 대구, 부산은
bbodenag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