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방법, 신청

by 유용한 정보를 드림 2023. 10. 11.
반응형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환급금에 대한 주제인데요. 

오늘은 조금 생소할 수 있는 단어인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료 중 과다징수된 부분이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그래서 국민건강보험료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손쉽게 받아가야 갈 환급금이 있는지 조회해 보시고, 환급금이 있다면 꼭 신청해서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1인당 평균 130만 원의 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있으며, 소멸시효가 있으므로 신속히 신청하고 환급금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2022년 기준 187만 명이 국민건강보험료의 환급 대상이라고 하니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1.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란?

 

우리 모두는 4대 보험 중 하나인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을 텐데요. 건강보험 가입자들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국민건강보험료를 사용하게 됩니다. 병원비를 덜어주는 좋은 보험이지요. 그런데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건강보험료가 원래 내야 할 금액보다 과다징수될 때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에 대해 과다 징수된 금액을 세금에서 공제하여 진료자에게 돌려주게 됩니다. 

 

2. 국민건강보험 환급금(=본인부담상한제 사후환급금)이 생기는 이유

환급금이 생기는 이유는 쉽게 말해, 건강보험 가입자들이 1년 동안 낸 병원비가 본인부담금의 상한액을 초과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건강보험료의 경우 소득 분위에 따라 개인 상한액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 상한액보다 많이 낸 경우 그 초과분에 따른 나머지 금액을 상환해주기 때문에 환급금이 생기는 것입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3.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건강보험료가 과다 징수된 부분이 있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러면 그 부분에 대해 본인이 직접 조회해서 확인하고 신청을 해야 환급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회하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환급금의 경우 너무 오랫동안 방치하면 소멸되어 국고로 귀납되기 때문에 확인하셨다면 바로 환급받으시길 바랍니다. 

 

휴대폰이나 컴퓨터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간단히 전화 문의를 통해 환급금을 조회해 보실 수도 있습니다. 1577-1000번으로 문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2. 환급금 조회/신청 메뉴를 클릭.

 

3.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로 로그인을 한 뒤 환급금 신청 버튼을 눌러 필요한 자료를 첨부하고 신청 끝. (로그인의 경우 미리 해도 됨)

4. 마치며

오늘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란 무엇인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의 조회방법과 신청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초고령사회가 되면서 점점 더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은 분명 국민들의 의료비 지출 부담을 줄여준다는 점에서 좋은 제도이지만 본인 상한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을 돌려받으실 수 있다는 점을 꼭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2022년 기준 187만 명이 국민건강보험 환급 대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쉽게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는 환급금을 못 가져가면 정말 아쉽겠죠? 1인당 평균 130만 원 정도의 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고 하니 망설이지 말고 지금 바로 환급금 조회해 보시고 환급받아가시길 바랍니다!

 

5.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월세환급 신청방법, 자격 조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월세로 살고 계신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요즘 전세 사기다 뭐다 말이 아주 많은데요. 사람들이 점점 월세를 선호하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1년 12달 월세를 꼬

bbodenage.tistory.com

 

 

첫만남이용권 신청, 사용처

아이를 출산하신 부모님들, 존경합니다. 여러분들이 있어 세상이 아름답습니다. 아이들 양육에 있어 가장 힘든 시점이 바로 출생초기입니다. 육아휴직도 해야 하고 산후조리비용도 만만치 않게

bbodenage.tistory.com

 

 

반응형

댓글